top of page

2022년 6월 14일 : 명인 한복 ( 개인 소장 맞춤 / 마리사기 / 수사기 / 수사지 / 유소 댕기 / 은박 / 새앙머리 )

  • 작성자 사진: MyungIn
    MyungIn
  • 2022년 6월 14일
  • 1분 분량




참고 유물, 문헌 기록 : 영친왕비 마리사기, 연화대복식 유소 - 댕기는 머리를 묶거나 장식하는 다양한 형태의 헝겊 끈이다. 직사각형의 직물로 끈처럼 묶어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머리장식[수식(首飾)]에 드리운다.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장용일수록 금박(金箔)을 입히거나 보석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한다. 수사지(首沙只)는 '마리사기'의 표기이다. 수(首)는 '머리'의 훈독 표기이며, 사지(沙只)는 '사기'의 음독 표기이다. -출처: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- <악학궤범 권8, 연화대복식도설(蓮花臺服飾 圖說)> [俗稱首沙只]流蘇及結紳以紅羅爲之印金花紋纓用紅綃 번역: [속칭 머리사기(首沙只)] 유소(流蘇)와 결신(缺神)은 홍라(紅羅)로 만들고 금화문을 박으며, 끈은 홍초(紅綃)로 만든다. 설명: 유소(流蘇)는 연화대를 추는 어린 소녀의 머리에 매는 댕기로 사용된다. -출처: 한국전통지식포탈 - <악학궤범 권9, 여기복식도설(女妓服飾圖說)> [俗稱首沙只]流蘇以紫綃爲之印金花紋凡八條 번역: [속칭 머리사기[首沙只] 유소(流蘇)는 자초(紫綃)로 만들며 금화문(金花紋)을 박는데, 모두 여덟 가닥이다. 설명: 유소(流蘇)는 조선시대에 왕실 행사 때 사용하는 매듭이다. -출처: 한국전통지식포탈


MYUNG.IN 2022

Comments


Recent Posts
Archive
  • Facebook Social Icon

© 2017 by MYUNG.IN_HANBOK

bottom of page